공지사항

공지사항

인플루엔자 관리에 관한 사항 (교육청 공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포라온유치원
작성일16-12-07 18:27 조회712회 댓글0건

본문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

인플루엔자 관리 <요약>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생활 속 인플루엔자 예방수칙 (출처: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우선 권장대상자는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 65세 이상 어르신, 만성질환자, 생후 6~59개월 소아, 임신부 등

비누를 사용하여 자주 손을 30초 이상 씻고 개인 위생수칙을 잘 지킵니다.

기침, 재채기 할 때는 손수건, 휴지, 옷깃으로 입을 가리는 기침 예절을 지킵니다.

발열과 호흡기 증상(기침, 목 아픔, 콧물 등)이 있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때에는 가급적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의 방문을 피합니다.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습니다.

 

1. 인플루엔자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계절성 독감

 

2. 임상증상

전신 증상 및 호흡기 증상이 갑자기 시작됨

- 발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과 인후통, 기침, 객담, 콧물, 코막힘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임

-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어린 소아에서 더 흔함

- 중이염, 폐렴 등의 합병증이 올 수 있고, 드물지만 심혈관,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함

- 노년층이나 만성질환자 등에서 기저질환 약화와 합병증으로 사망도 가능함

 

3. 잠복기

1~4(평균 2)

 

4. 전염기간

대체로 증상발현 1일 전부터 발병 후 5일까지 전염력이 높음

소아에서는 전염가능 기간이 더 길어 증상 시작 후 10일 이상까지도 전염력이 있을 수 있음

 

5. 전파경로

호흡기(비말) 전파: 주로 급성 인플루엔자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부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됨

폐쇄 공간 내의 밀집된 집단에서 공기 감염도 가능하며, 건조한 점액에서도 몇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지고 나서 눈이나, , 입 등을 만지는 경우 접촉감염도 가능함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감염은 흔하지 않으나,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에 직접 닿거나 간접적으로 인간이 접촉했을 때 감염이 가능함

 

6. 관리방안

예방접종

- 인플루엔자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은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매년 접종이 필요함

- 특히 만성질환자 등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백신 접종을 적극 권장함

(체육건강교육과-13402, 2016.11.11. 참조)

일반 예방 수칙

- 인플루엔자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인플루엔자에 걸렸다면 전염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접촉을 피할 것

- 인플루엔자에 걸렸을 경우 유행차단을 목적으로 등교중지를 하지는 않지만 필요한 경우 집에서 휴식 취하기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휴지로 코나 입을 막을 것

사용한 휴지는 꼭 버릴 것

휴지가 없을 시 손이 아닌 상의 소매로 입을 막고 기침

기침이나 재채기 후 비누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이 함유된 소독제로 손 소독

- 손 위생: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고, 손 소독제를 이용할 때는 알코올이 함유된 제품을 사용

- 더러운 손으로 눈, , 또는 입을 만지지 말 것

 

환자 치료

- 대증치료 및 항바이러스제 치료

환자 격리

- 인플루엔자 환자를 모두 격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환자 격리는 대유행 초기와 같이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전파 차단에 효과적인 방법은 아님

접촉자 관리

- 건강한 접촉자에게 예방을 위한 항바이러스제 투여는 통상적으로 권유되지 않으나,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고위험군 또는 고위험군과 접촉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항바이러스제로 예방함

 

7. 교사 및 학부모의 역할

보건(담당)교사 및 담임교사는 밀접접촉자에서 인플루엔자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고, 증상이 생기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하여 학교 내 추가 전파가 되지 않도록 함

예방접종 권고지침 및 일반 예방수칙을 준수함

합병증(라이증후군: 간과 뇌의 장애 유발) 발생 위험성이 있으므로 인플루엔자 환자에게는 아스피린 사용을 금함

 

8. 기타 사항

밀접접촉자가 고위험군(면역저하자, 임산부 등)인 경우에는 인플루엔자의 발병 여부를 관찰하고, 의사와 상의하여 초기에 항바이러스제 투여를 의사와 상의함

 

<자료출처>

교육부(2016), 학생감염병 예방 위기대응 매뉴얼(, , , 특수학교용 상세본, 잠정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